비과세형 연금보험 · 10년 미만 해지 흐름
입력
납입원금 · 발생이자 파악
예) 2년 납입 원금 720만원, 발생이자 20만원
이자소득 = 계약기간 발생이자 합계
10년 유지 요건 충족 여부 판단
판단
10년 미만 해지
비과세 요건 미충족 → 이자소득은 과세 대상
과세세액 산출
세금 계산
이자소득세 15.4% 부과
지방소득세 포함
납부세액 = 발생이자 × 15.4%
예) 200,000 × 0.154 = 30,800원
환급금 수령
결과
해지환급금 = 원금 + 이자 – 세금
환급금 = 7,200,000 + 200,000 – 30,800 = 7,369,200원
※ 실제 환급금은 상품별 사업비·해지공제 등으로 달라질 수 있습니다.
{inAds}
세액공제형 연금저축보험 · 중도해지 흐름
입력
납입원금 · 운용수익 · 세액공제액 파악
예) 2년 납입 원금 480만원, 운용수익 15만원, 공제액(15%) 72만원
공제대상 = 누적 세액공제액 + 운용수익
연금 외 수령 여부 판단
판단
중도해지(연금 외 수령)
세제 혜택 환수 + 수익 과세
과세세액 산출
세금 계산
기타소득세 16.5% 부과
지방소득세 포함
납부세액 = (누적 세액공제액 + 운용수익) × 16.5%
예) (720,000 + 150,000) × 0.165 = 143,550원
환급금 수령
결과
해지환급금 = 원금 + 수익 – 기타소득세 – 사업비
환급금 ≈ 4,800,000 + 150,000 – 143,550 – (사업비)
※ 실제 환급금은 상품별 사업비·해지공제·수수료에 따라 달라집니다.
{inAds}
읽는 법 & 유의사항
이 다이어그램은 “세금 부과 기준과 흐름”을 시각화하기 위한 것입니다. 실제 납부세액·환급금은 상품 약관(사업비·해지공제·배당)과 개인 소득·공제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해지 전 반드시 보험사 공시실·약관 및 홈택스 모의계산으로 수치를 확인하세요.
표기된 세율은 일반적인 기준(이자소득세 15.4%)이며, 제도 변경 시 달라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