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 잔금일 실수 없이 끝내는 방법: 보증금 보호부터 근저당 말소까지

처음 전세 계약을 했을 때, 제가 가장 불안했던 순간은 ‘잔금일’이었습니다. 이사 날짜는 정해졌고, 이체해야 할 돈은 천만 원대, 억 단위. 그런데 갑자기 이런 생각이 들더군요.
“집주인 안 만나고 그냥 계좌로 이체해도 괜찮은 걸까?”

당시엔 누가 명확하게 알려주지도 않았고, 인터넷은 쓸데없이 복잡한 이야기뿐이었죠. 그런데 전세 잔금일은 딱 한 번, 아주 중요하게 지나가는 과정입니다. 이때 실수하면 보증금을 못 돌려받는 상황까지 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저처럼 부동산이 처음인 분들도 안심하고 따라 할 수 있는 잔금일 처리 절차를 공유하려고 합니다. 이 글만 끝까지 보시면, 누구의 도움 없이도 깔끔하게 전세 잔금을 마무리할 수 있을 겁니다.

{getToc} $title={목차}

전세 잔금일 계좌이체 직전 확인할 체크리스트와 모바일 은행 앱 화면

잔금일 실수, 왜 생길까요?

가장 흔한 이유는 ‘몰라서’입니다.
잔금일은 이사 준비로 바쁘고 정신도 없는데,
어떻게 해야 안전한 지에 대한 체크리스트는 주는 사람이 없죠.

또 하나는 ‘익숙한 방식’을 당연히 따라 하기 때문입니다.
집주인이 “그냥 이 계좌로 보내요” 하면, 그대로 보내고 끝.
하지만 그 계좌가 집주인 명의가 아니라면?
보낸 돈을 전세 잔금으로 인정받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단계별로 따라가는 ‘전세 잔금일 절차’

잔금 이체 전, 등기부등본 확인

전세 잔금 전 등기부등본 온라인 발급 및 권리관계 확인 과정

계약 당시에는 문제없었더라도, 잔금일이 다가올 때쯤엔 상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 사이에 집주인에게 빚(근저당)이나 압류가 생겼을 수도 있습니다.
계약 당시엔 깨끗했어도, 지금은 아닐 수 있어요.

🖱️ 인터넷등기소 바로가기

  • 확인 시점: 잔금 이체 바로 직전
  • 확인 항목: 소유자 이름, 새로 생긴 권리관계(근저당권, 가압류 등)

{inAds}

계좌 이체는 반드시 ‘집주인 본인 계좌’로

중개사 통해 잔금 이체하더라도,
계좌는 등기부등본에 적힌 ‘소유자 명의’여야 합니다.

  • 가족 계좌? ➤ 위임장 + 인감증명서 필수
  • 계좌 이체 후엔 반드시 이체 내역 캡처 또는 영수증 받아 두세요.

대출이 있는 집이라면?

대부분의 전세집엔 은행 대출이 잡혀 있습니다.
이걸 잔금일에 말소하지 않으면, 여러분의 보증금보다
은행 대출이 먼저 회수됩니다. 위험하죠.

가장 안전한 방법은?

  • 집주인과 함께 은행에 방문
  • 잔금 중 일부를 은행 가상계좌로 직접 송금
  • 대출 상환 + 근저당 말소까지 확인 후, 나머지 잔금 이체

이건 절대 중개사만 믿고 넘기면 안 됩니다.
은행에서 처리 상황까지 직접 눈으로 보고 확인해야 합니다.

{getCard} $type={post} $title={Card Title}

전입신고 + 확정일자, 당일 바로

전입신고 및 확정일자를 정부24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하는 장면

이건 단 하루 차이로도 우선변제권 순위가 바뀝니다.
잔금 치른 당일, 바로 전입신고하고 확정일자를 받으세요.

  • 오프라인: 주민센터
  • 온라인: 정부 24

📌 확정일자 받아야 보증금을 법적으로 우선 돌려받을 수 있는 권리가 생깁니다.

최종 정리한 ‘실전 체크리스트’

  1. 등기부등본 재확인 (잔금 전·잔금 후)
  2. 소유자 명의 계좌로만 이체
  3. 근저당 말소 직접 확인 (가능하면 은행 동행)
  4. 이체 내역 또는 영수증 확보
  5. 전입신고 + 확정일자 처리 (꼭 당일)

이 다섯 가지만 지키면,
잔금일 실수로 내 돈 날릴 걱정 없습니다.

{getCard} $type={post} $title={Card Title}

지금 바로 할 수 있는 준비는?

그리고 잊지 마세요.
공인중개사는 서류 확인, 절차 안내, 문제 발생 시 중재까지
여러분을 도와주기 위한 사람입니다. 궁금하면 주저하지 말고 물어보세요.

{inAds}

잔금일은 두려워할 필요 없습니다

많은 분들이 ‘전세 잔금’은 어려운 절차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정확한 순서만 안다면, 누구나 실수 없이 마무리할 수 있습니다.

처음 전세를 알아보는 분이라면,
이 글을 ‘체크리스트’처럼 저장해 두고
잔금일에 따라가 보세요.

지금 준비하면, 잔금일에 당황해서 실수하지 않을 겁니다.

{getCard} $type={post} $title={Card Title}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