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laxy S25 성지 시세표 – 공시·부가조건까지 실지출 계산 정리

휴대폰 바꾸려고 시세표를 봤더니,
‘번이 -17’, ‘공시/선약’, ‘M+3개월 유지’, ‘추가 차감’…
대체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면, 지금 이 글로 하나하나 이해하시면 됩니다.

왜 성지표 해석을 알아야 할까?

성지 시세표는 단순 기기값 할인이 아닙니다.
대신 아래처럼 조건을 지켜야 '기기값 대신 돈을 주는 구조'입니다.

“폰값 대신 요금제 + 부가서비스로 갚아라.
조건 다 지키면 오히려 돈 줄게.”

{getToc} $title={목차}

Galaxy S25 성지 시세표

통신사별 요금제 조건 요약

통신사 요금제명 월 요금 6개월 유지 후
SK 5G 프리미엄 유튜브 109,000원 48,000원 이상
요금제 유지 시 위약금 없음
KT 5G 초이스 스페셜 티빙 110,000원 5만원 이상
요금제 유지 시 위약금 없음
LG 5G 프리미엄 슈퍼 디즈니 115,000원 5만원 이상
요금제 유지 시 위약금 없음
 
⚠️ 공시개통 시, 6개월 후 ‘알뜰요금제’로 전환하면 공시 위약금 발생
단, 통신사 내에서 요금제만 하향 조정 시엔 위약금 없음


{inAds}


공시 vs 선약 시세 해석

통신사 방식 번이(번호이동) 기변(기기변경)
SK 공시 -17만 원 (받음) 5만 원 (추가납부)
KT 공시 -14만 원 (받음) -8만 원 (받음)
LG 공시 -22만 원 (받음) -6만 원 (받음)
 
  • ‘-17’은 나한테 17만 원 지급이라는 뜻
  • 지급 시점은 개통 1~3일 후
  • 단, 조건 미이행 시 지급 안 되거나 회수

필수 부가서비스 정리 (미가입 시 차감금 발생)

📌 SK 기준 (M+는 개통월 포함 기간)

서비스 유지기간 월요금 미가입 시 차감
우주패스 유튜브 M+3개월 0원 5만 원
웨이브 & 쇼콕 M+3개월 18,900원 5만 원
마이스마트콜 M+1개월 3,500원 2만 원
보험 M+1개월 3,500원 2만 원
 
M+3개월 유지란: 개통월 + 다음달 + 다다음달 + 다다다음달까지
즉, 8월 2일 개통이면 11월 30일 23:59 이후 해지 가능

실지출 계산 예시 (SK / 공시 / 번이 기준)

구성

  • 요금제 109,000원 x 6개월 = 654,000원
  • 부가서비스 유지: 마이스마트콜 + 보험 (3,500 x 2 x 2개월) = 14,000원
  • 웨이브는 가입 안 하고 5만 원 차감 당함

총계산

항목 금액
요금제 6개월 654,000
부가서비스 14,000
부가 차감 (웨이브) +50,000
공시지원금 (받는 금액) -170,000
최종 실지출 548,000원
 

⇀ Galaxy S25 256GB를 실질적으로 55만 원 이하에 개통한 셈


{inAds}


위약금 리스크: 공시 개통 시 요금제 낮추면?

  • 6개월 이내 요금제 하향 시 위약금 발생
  • 계산 공식:
    위약금 = (기기 출고가 - 공시지원금) x (잔여일수 / 730일)

예: 출고가 1,155,000원, 공시지원금 600,000원
⇀ 위약금 약 50~80만 원 발생 가능성 있음

⚠️ 특히 공시 개통 후 ‘선택약정’으로 변경 불가
전환하려면 공시 위약금 발생 (보통 30~40만 원 이상)

KT·LG 실지출 계산 (공시 기준 / 번이)

KT 예시

  • 요금제: 110,000 x 6개월 = 660,000
  • 부가서비스: 필수팩+디즈니+보험 = 약 35,000 x 3개월 = 105,000
  • 총 = 765,000
  • 차감 없음, 지원금 14만 원 ⇀ 실지출 약 625,000원

LG 예시

  • 요금제: 115,000 x 6개월 = 690,000
  • 부가: 유플레이 + V컬러링 + 폰교체팩 유지 시 = 30,400 x 3개월 = 91,200
  • 총 = 781,200
  • 공시지원금 22만 원 ⇀ 실지출 약 561,200원

번호이동 제한 조건 (중요!)

  • 185일 미만 사용 회선은 번이 거절됨 (전산 차단)
  • LG는 기기변경 회선이 13개월 미만이면 6만 원 차감

⇀ 본인 회선이 6개월 이상 쓴 번호인지 사전에 확인 필수

결합 할인 사용자 주의

  • KT 온가족 / SK 온가족플랜 / LG LTE 결합 등 유지 중이라면
    번이 시 결합 깨짐 ⇀ 가구 전체 요금 인상
  • 결합 할인 유지 시: 기변 + 선약 조합이 손해 적음

성지 vs 자급제 총비용 비교 (2년 기준)

항목 성지 공시 자급제
기기값 0원 약 1,030,000원
요금제 654,000 (6개월 고가 + 이후 중간 요금) 24,000~100,000 (알뜰 기준)
부가서비스 14,000 없음
기타 차감 조정 유심비, 유통비 등
총합 55~70만 원 110~130만 원
 

⇀ 대란 조건이면 성지가 유리, 알뜰요금제 자유를 원하면 자급제


{inAds}


어떤 방식이 나에게 맞을까?

상황 추천
고가요금제도 감당 가능, 기기값 부담 싫다 성지 공시 번이
요금제 자유 + 유심 교체 자주 가능 자급제
가족결합 유지 + 통신사 변경 불가 기기변경 + 선약
기기변경인데 저렴하게 사고 싶다 중고폰 or 자급제 미개봉
 

📌부가서비스 해지 알림 Tip

  • 📅 개통일 + 유지기간 정확히 캘린더 설정
  • 📱 통신사 앱에서 ‘부가서비스 해지 가능일’ 확인
  • 웨이브, 유플레이 등은 자동 연장되니 직접 해지 필수

📌 참고사항

본 글에 소개된 시세와 조건은 2025년 8월 초 기준 성지 시세표를 기반으로 해석한 예시입니다.
실제 개통 시점과 매장에 따라 조건, 지급 금액, 부가서비스 구성 등은 다를 수 있으니 반드시 방문 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보다 정확한 요금제 구성이나 부가서비스 명칭, 변경 가능 요금제는 각 통신사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