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형 가사서비스 신청 안내. 중위소득 180% 이하 임산부·맞벌이·다자녀 가정 대상, 70만원 바우처 지원. 신청 마감 11월 21일, 사용기한 11월 30일.
{getToc} $title={목차}
“집안일이 밀려 숨이 막힐 때, 도움될까요?”
아기가 어려서 하루가 정신없고, 둘 다 일하느라 청소·빨래가 늘 미뤄지시나요?
서울시에 거주하는 임산부·맞벌이·다자녀 가정이라면 ‘서울형가사서비스’로 집안일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올해 하반기 모집은 신청 마감일이 정해져
있고(예산 소진 시 조기 종료), 사용 기한도 짧습니다. 자격이 되신다면 지금 바로
준비하시는 게 안전합니다.
누가, 얼마나, 언제까지
서울 거주 가구 중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에 해당하는 임산부·맞벌이·다자녀 가정이 대상입니다. 선정되면 가사서비스 포인트 70만 원이 본인 명의 신용/체크카드에 지급됩니다.
신청 마감은 2025년 11월 21일, 사용 기한은 11월 30일까지입니다(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 가능). 포인트는 서울시 지정 32개 참여업체에서
사용합니다.
사용처는
‘서울맘케어’ 사이트 내 서울형가사서비스 사용처 조회에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inAds}
그런데 왜? 제도 설계 포인트
이 서비스는 육아·가사 부담이 큰 가구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올해
소득 기준을 180% 이하로 완화하고,
총액(70만 원) 안에서 자율적으로 서비스 선택이 가능하도록 개선됐습니다.
권역 제한을 풀어 서울 전역 32개 업체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게 한
것도 핵심 변화입니다.
집 청소, 주방·욕실 정리, 세탁, 설거지 등 일상 가사
전반을 포괄하므로 “어떤 서비스를 몇 번”이 아니라 “우리 집에 지금 필요한 일”을
중심으로 쓰면 효율이 높습니다.
{getCard} $type={post} $title={Card Title}
이렇게 준비·신청하세요
공통 준비:
주민등록등본(서울 거주·가구원 확인),
건강·장기요양보험료 납부확인서 최근 3개월분(소득 기준 확인), 필요 시
가족관계증명서(세대 분리 등). 모든 증빙은 최근 3개월 이내 발급분이
원칙입니다.
결제 카드는 본인 명의여야 하며
신한(국민행복카드만), 삼성, KB국민, 우리, BC가 가능합니다. 신청은
‘서울맘케어’에서 진행합니다.
임산부 가구:
임신 3개월~출산 후 1년 이내.
임신사실확인서(병원명·요양기관번호·의사명·면허번호·분만예정일 기재)를
준비하세요. 출산 후 1년 이내는 주민등록등본으로 확인합니다.
맞벌이 가구:
직장건강보험·고용보험 가입자는 별도 취업 증빙 없이
가능(소득은 보험료로 확인). 미가입자는 재직증명서·근로계약서·국민연금 가입증명
등 근로활동 증빙 1종 + 소득신고 자료가 필요합니다(육아휴직자는
휴직확인서).
자영업자:
사업자등록증명원 + 소득금액증명원/부가가치세
과세표준증명 등 소득 확인 서류 1종을 냅니다(신규 사업자는 매출
장부·전표 등 가능).
다자녀 가구:
만 18세 이하 자녀 2명 이상, 단
12세 이하 자녀 최소 1명 필수. 등본 등 공통자료로 확인합니다.
{inAds}
마지막 체크포인트(자주 헷갈리는 부분)
- 기한이 짧습니다: 11월 21일(금)까지 신청, 11월 30일(일)까지 미사용 잔액은 환수될 수 있습니다. 늦게 신청할수록 실제로 쓸 수 있는 기간이 줄어듭니다.
-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 마감일 전에 접수가 닫힐 수 있어, 조건이 맞으면 지금 신청하는 게 안전합니다.
- 카드사 제한 유의: 신한카드는 국민행복카드만 가능. 다른 신한카드는 불가합니다.
- 사용처 확인 필수: 신청 전·후로 우리 집 근처 참여업체를 먼저 확인하고 예약 계획을 세우세요.
서울 거주, 중위소득 180% 이하의 임산부·맞벌이·다자녀 가정이라면,
70만 원 가사서비스 바우처를 11월 30일 전에 지정 32개 업체에서 자유롭게
쓰시면 됩니다.
오늘 등본·보험료 납부확인서부터 발급받아 ‘서울맘케어’에서
신청을 시작해 보세요.